비온에 대한 꿈 발표를 앞두고 개념 정리가 필요할 듯 하여 그롯슈타인이 쓴 "흑암의 빛줄기" 중 26장을 정리하며 개념정리를 하였습니다.
먼저 서문을 통해 그롯슈타인은 누구인지, 또 비온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 그가 이 책을 쓴 이유와 비온에 대한 소개를 보며 도움을 많이 받았습니다.
비온은 어떤 시대에 살며 어떤 문화 속에서 이런 세계관을 가졌을지 나름 이해하고나니,
비온이 말하는 정신분석의 세계를 더 잘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스터디를 하며 궁금한 부분을 서로 이야기하며 더 명확해지기도 하고 더 쉽게 소화되어지기도 했습니다.
단, 좌표에 대해서는 더 시간이 필요했는데 이번 줌 수업으로 설명해 주셔서 그림이 맞춰지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스터디를 준비하며 역시나 발췌하는 사람이 제일 공부가 많이 되는 귀한 시간이었고,
꿈6 영상과 더불어 "흑암의 빛줄기" 서문을 읽으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현상학적 실존주의에 대한 이해가 비온의 세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지두 크리슈나무르티의 "마음과 생각"이 비온의 영적인 세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도 했습니다.
현대 정신분석에서 비온의 영향력을 인정할 수 밖에 없으니, 어렵지만 도전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고,
이제 조금 숨통이 트이는 시간이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비온에 대한 꿈 발표를 앞두고 개념 정리가 필요할 듯 하여 그롯슈타인이 쓴 "흑암의 빛줄기" 중 26장을 정리하며 개념정리를 하였습니다.
먼저 서문을 통해 그롯슈타인은 누구인지, 또 비온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 그가 이 책을 쓴 이유와 비온에 대한 소개를 보며 도움을 많이 받았습니다.
비온은 어떤 시대에 살며 어떤 문화 속에서 이런 세계관을 가졌을지 나름 이해하고나니,
비온이 말하는 정신분석의 세계를 더 잘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스터디를 하며 궁금한 부분을 서로 이야기하며 더 명확해지기도 하고 더 쉽게 소화되어지기도 했습니다.
단, 좌표에 대해서는 더 시간이 필요했는데 이번 줌 수업으로 설명해 주셔서 그림이 맞춰지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스터디를 준비하며 역시나 발췌하는 사람이 제일 공부가 많이 되는 귀한 시간이었고,
꿈6 영상과 더불어 "흑암의 빛줄기" 서문을 읽으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현상학적 실존주의에 대한 이해가 비온의 세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지두 크리슈나무르티의 "마음과 생각"이 비온의 영적인 세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도 했습니다.
현대 정신분석에서 비온의 영향력을 인정할 수 밖에 없으니, 어렵지만 도전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고,
이제 조금 숨통이 트이는 시간이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