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력적인 이성을 만났는데 막상 사귀고 보니 너무 힘이 들었어요.
에너지가 탈진되어 학교에서 낙제를 하고...정신이 엉망이 되고 말았어요.”
세상에는 여러 유형의 인간이 있다. 삶의 과정에서 어떤 성품의 대상을 만나는가에 의해 개개인마다 각양각색의 드라마
가 생성된다. 좋은 성품의 사람을 만나면, 잠재된 능력이 발현되어 인생에 꽃이 피게 되고, 병리적 성품 지닌 대상을 만
나면, 정신이 혼미해져 무기력해지거나 원인모를 사건 사고를 겪게 된다.
“이상해요. 그 사람 만난 후부터 제 삶이 뒤죽박죽되고 제대로 되는 일이 하나도 없었어요~”
모르고 접촉한 외부 대상의 정신성에 자신의 정신성이 무심결에 적지 않은 영향을 받게 된다는 사실을 보통사람은 잘 모
른다. 더구나, 어떤 대상을 왜 조심해야 하는지도 잘 모른다. 보통사람은 타인의 겉모습과 물질조건과 스펙, 말솜씨, 기운
에 끌려 이러저런 관계를 맺곤 한다. 정신분석가와 일반인이 사람을 보는 시각은 상당히 다르다.
상대의 정신성을 모르고 만날 경우 평생 축적해온 정신자원이 고갈되고 나쁜 기운에 전염되 정신이 혼미해져 큰 곤경에
처하게 되는, 조심해야할 몇몇 인격 유형이 있다. 그 중 하나가 악성 자기애인격이다. 그들은 어떤 특성을 지니는가?
경계선인격 전문가 Kernberg는 정신증과 신경증 사이에 위치하는 그것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악성 자기애인격은 전형적인 자기애 인격장애, 자아동조적인(=자기문제를 지각 못하는) 가학증,
성격에 구조화된 공격성, 편집증적 성향을 지닌다.”
위 내용을 하나씩 음미해보자. 자기애 인격은 자신의 취약한 자존감을 보충하기 위해, 늘 타인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기
에, 타인의 삶을 자신을 위하게끔 사용하고 통제하려 든다. 악성 자기애의 경우엔 그 통제 양태가 교묘히 가학적이며, 자
신이 세상(대상)을 통제할 수 없다고 느끼면 자포자기적 자학 상태에 처한다.
자신의 통제에 의해 주변 대상들의 삶이 침범 받아 손상될지라도, 자신의 행위가 이미 자아에 동질적이기에, (자아가 그
것에 대해) 이상하다는 느낌이나 지각, 반성이 없다. 그래서 타자가 자신의 행동에 대해 불만을 표시하거나 이의를 제기
하면, 부당하고 황당하다고 느낀다. 아울러 자기 인격의 결함들에 대해 '부인'과 투사로 방어하며, 자신이 나쁜 놈들에 의
해 박해당하고 있다는 환상이 함께 작동하여, 문제의 원인이 외부 대상 탓으로 지각되므로 타자에게 버럭 화를 내게 된
다.
“대체 왜 이러는 거야. 못 믿을 나쁜 쓰레기 새끼들아 ~”
그의 성격 내부에는 어린 시절에 해소 못한 분노와 파괴욕이 들끓기에, 타인과 다툼이 일어날 때, 가차 없는 공격적 태도
를 취하게 되고, 그로인해 발생한 파국사태에 대해 후회나 죄책감이 미미하다. (도덕감 결여)
악성자기애자는 분열된 가학적 초자아를 타인에게 투사하는 편집증적 인지 구조를 지니기 때문에, 그/녀에게 외부대상
들은 과도되게 좋게 지각되는 소수와, 다수의 나쁜 적(하찮은 바보)로 양극화 된다. 따라서 그가 공격하여 손상시킨 타자
는 가치롭거나 자신과 동등한 인간이 아니라, 무가치하고 경멸당함이 마땅한 대상으로 평가절하 된다.
이런 악성자기애자와 ‘의견 대립’이 일어나면, 속에서 튀어나오는 강력한 공격적 기운으로 인해, 대화나 타협이 아니라
예기치 못한 싸움이 일어난다. 그리고 그 파국의 부담은 모두, 악성 자기애인격인줄 모르고 순진하게 관계한 사람이 감당
해야하는 몫이 된다. 악성자기애는 자기로 인해 타인이 겪는 극심한 피해 • 불행감에 대해 어떤 지각 • 공감도 못하고 배
려도 하지 않기 때문이다.
“ 이 못되고 하찮은 것들아, 너런 것들이 어찌되든 내 알바 아니야. 개돼지처럼 씹어 먹기도 귀찮아... 귀찮단 말이야 ~ ”
[ 악성자기애인격 II 로 이어짐...]
“매력적인 이성을 만났는데 막상 사귀고 보니 너무 힘이 들었어요.
에너지가 탈진되어 학교에서 낙제를 하고...정신이 엉망이 되고 말았어요.”
세상에는 여러 유형의 인간이 있다. 삶의 과정에서 어떤 성품의 대상을 만나는가에 의해 개개인마다 각양각색의 드라마
가 생성된다. 좋은 성품의 사람을 만나면, 잠재된 능력이 발현되어 인생에 꽃이 피게 되고, 병리적 성품 지닌 대상을 만
나면, 정신이 혼미해져 무기력해지거나 원인모를 사건 사고를 겪게 된다.
“이상해요. 그 사람 만난 후부터 제 삶이 뒤죽박죽되고 제대로 되는 일이 하나도 없었어요~”
모르고 접촉한 외부 대상의 정신성에 자신의 정신성이 무심결에 적지 않은 영향을 받게 된다는 사실을 보통사람은 잘 모
른다. 더구나, 어떤 대상을 왜 조심해야 하는지도 잘 모른다. 보통사람은 타인의 겉모습과 물질조건과 스펙, 말솜씨, 기운
에 끌려 이러저런 관계를 맺곤 한다. 정신분석가와 일반인이 사람을 보는 시각은 상당히 다르다.
상대의 정신성을 모르고 만날 경우 평생 축적해온 정신자원이 고갈되고 나쁜 기운에 전염되 정신이 혼미해져 큰 곤경에
처하게 되는, 조심해야할 몇몇 인격 유형이 있다. 그 중 하나가 악성 자기애인격이다. 그들은 어떤 특성을 지니는가?
경계선인격 전문가 Kernberg는 정신증과 신경증 사이에 위치하는 그것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악성 자기애인격은 전형적인 자기애 인격장애, 자아동조적인(=자기문제를 지각 못하는) 가학증,
성격에 구조화된 공격성, 편집증적 성향을 지닌다.”
위 내용을 하나씩 음미해보자. 자기애 인격은 자신의 취약한 자존감을 보충하기 위해, 늘 타인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기
에, 타인의 삶을 자신을 위하게끔 사용하고 통제하려 든다. 악성 자기애의 경우엔 그 통제 양태가 교묘히 가학적이며, 자
신이 세상(대상)을 통제할 수 없다고 느끼면 자포자기적 자학 상태에 처한다.
자신의 통제에 의해 주변 대상들의 삶이 침범 받아 손상될지라도, 자신의 행위가 이미 자아에 동질적이기에, (자아가 그
것에 대해) 이상하다는 느낌이나 지각, 반성이 없다. 그래서 타자가 자신의 행동에 대해 불만을 표시하거나 이의를 제기
하면, 부당하고 황당하다고 느낀다. 아울러 자기 인격의 결함들에 대해 '부인'과 투사로 방어하며, 자신이 나쁜 놈들에 의
해 박해당하고 있다는 환상이 함께 작동하여, 문제의 원인이 외부 대상 탓으로 지각되므로 타자에게 버럭 화를 내게 된
다.
“대체 왜 이러는 거야. 못 믿을 나쁜 쓰레기 새끼들아 ~”
그의 성격 내부에는 어린 시절에 해소 못한 분노와 파괴욕이 들끓기에, 타인과 다툼이 일어날 때, 가차 없는 공격적 태도
를 취하게 되고, 그로인해 발생한 파국사태에 대해 후회나 죄책감이 미미하다. (도덕감 결여)
악성자기애자는 분열된 가학적 초자아를 타인에게 투사하는 편집증적 인지 구조를 지니기 때문에, 그/녀에게 외부대상
들은 과도되게 좋게 지각되는 소수와, 다수의 나쁜 적(하찮은 바보)로 양극화 된다. 따라서 그가 공격하여 손상시킨 타자
는 가치롭거나 자신과 동등한 인간이 아니라, 무가치하고 경멸당함이 마땅한 대상으로 평가절하 된다.
이런 악성자기애자와 ‘의견 대립’이 일어나면, 속에서 튀어나오는 강력한 공격적 기운으로 인해, 대화나 타협이 아니라
예기치 못한 싸움이 일어난다. 그리고 그 파국의 부담은 모두, 악성 자기애인격인줄 모르고 순진하게 관계한 사람이 감당
해야하는 몫이 된다. 악성자기애는 자기로 인해 타인이 겪는 극심한 피해 • 불행감에 대해 어떤 지각 • 공감도 못하고 배
려도 하지 않기 때문이다.
“ 이 못되고 하찮은 것들아, 너런 것들이 어찌되든 내 알바 아니야. 개돼지처럼 씹어 먹기도 귀찮아... 귀찮단 말이야 ~ ”
[ 악성자기애인격 II 로 이어짐...]